목사 이 정 환 호: 言犬 필명: 스데반
호 '언견(言犬)'은 하나님의 말씀을 개와 같이 충성스럽게 지키고 증거하는 말씀의 종이라는 의미를 담은 것이며, 필명 '스데반'은 성경을 전체적으로 꿰뚫고, 순교로 하나님의 말씀을 증거함으로써 설교가 불붙은 논리임을 보여준(행 7장) 스데반의 지성과 열성을 닮고자 한 것임.
서신(수신)
제임스 패커(James I. Packer, 1926-2020) 박사의 알미니우스주의(Arminianism) 논문 번역/출간 허락 친필 서신(2013.12.6.)
목회
현풍새교회 교육전도사
사천교회 전도사 후 목사 안수(경동노회/예장통합)
현풍새교회 담임목사
울산호계교회 부목사
일반 경력
KRICT 위촉연구원
P회사 연구원
University of Texas at Dallas 박사후 연구원
신학과 설교
R. C. 스프롤(R. C. Sproul, 1939-2017)을 스승으로 여길만큼 그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 그를 존경한다. 그러나 그의 신학을 비평적으로 수용한다. 개혁 신학에 입각하여 교부 및 종교개혁자들과 후기 개혁파 정통주의 신학자들의 어깨 위에 서 있다. 복음 전도와 영혼 구원, 밝음과 따뜻함이 겸비된 진리의 빛에 입각한 넓고 포용력 있는 목회와 겸손한 신학적 실천에 무게를 둔다.
말씀의 강해에 하나님의 능력이 임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있으며, 예수 그리스도 중심의 설교를 통해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경배로 회중을 이끄는 것이 설교자의 임무라고 굳게 믿는다. 설교는 초등학교 고학년 정도의 지적 수준을 가진자면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하되 박사급의 지적 수준을 가진 사람도 배울 것이 있도록 본문 주해에 중점을 둔다. 이를 바탕으로 교리를 전개하되 상황에 맞는 적용을 설교의 정점으로 알고 실천적 적용이 설교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게 한다.
설교와 관련하여 설교의 형식에 있어서는 페트루스 판 마스트리히트(Petrus van Mastricht, 1630-1706) 및 조나단 에드워즈(Jonathan Edwards, 1703-1758), 설교의 기법과 관련하여서는 찰스 스펄전(Charles Haddon Spurgeon, 1834-1892), 설교자의 정신 자세에 대해서는 마틴 로이드 존스(David Martyn Lloyd-Jones, 1899-1981)의 영향을 받았다.